본문 바로가기
철학

헬레니즘의 철학과 처세술의 철학

by 철학에대하여 2024. 3. 13.

헬레니즘의 철학과 처세술의 철학

알렉산더 대왕이 죽은 후 그리스 문명에 동양적 요소가 유입되면서 점차 전례 없는 독특한 세계적 인류 문화로 변모해 나갔습니다. 19세기 독일 역사가 드로이젠은 이 시대의 문화를 그리스 문화라고 불렀습니다. 기원전 4세기 말, 그리스 세계에서는 새로운 이념 운동이 나타났습니다. 헬레니즘은 일반적으로 기원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의 죽음에 기인합니다. 기원전 323년부터 31년까지 옥타비아누스가 악티움 해전에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물리쳤던 그리스와 로마 문명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시대는 전쟁이 잦은 혼란스러운 시대였습니다. 마케도니아는 그리스를 지배했고, 로마는 1차, 2차, 3차 포에니 전쟁을 통해 카르타고를 정복하고 지중해의 지배권을 얻었으며, 그 상황을 기회로 마케도니아를 정복하고 새로운 강국으로 떠올랐습니다. 로마의 권력은 더욱 확장되어 모든 방향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이 격동의 전쟁 시기에는 이론화, 체계화, 현실 대응이 쉽지 않았습니다. 체계적인 이론체계가 등장하더라도 실천철학이나 현실에 만족하는 철학이 우세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므로 이 시기의 철학은 일반적으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인간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통해 자신만의 철학을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시대의 철학을 '윤리시대' 또는 '행동철학 또는 행위예술'라고 부릅니다.

 

에피쿠로스학파의 참된 쾌락이란

에피쿠로스는 소아시아 서해안에서 몇 마일 떨어진 사모스 섬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는 나중에 이 섬에서 자랐고, 그곳에서 회의론자가 된 나우시파니스(Nausifanis)와 함께 공부했으며, 자신의 사상 발전에 영향을 미친 플라톤주의자인 팜필루스(Pamphilus)와 데모크리토스(Democritus)의 제자가 되었습니다.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약 10년 전 그리스 본토에서 이민해 농업에 종사하는 이민자입니다. 에피쿠로스는 부모의 지도 아래 단순하고 엄격한 삶을 살았습니다. 그에게는 나중에 에피쿠로스의 제자가 된 세 명의 형제가 있었습니다. 에피쿠로스의 진정한 행복이란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가 인간의 정신을 극한까지 끌어올리는 철학의 세계를 말하며, 에피쿠로스는 행복이야말로 인간의 진정한 행복이라고 믿었습니다.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 윤리는 플라톤과 그의 학계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는 욕망의 충족을 통해 생기는 쾌락이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고 믿었습니다. 에피쿠로스는 배움과 도덕은 스스로 하는 것이 아니라 행복을 얻기 위한 수단일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에피쿠로스는 쾌락을 고통을 수반하는 쾌락과 고통을 수반하지 않는 수동적 쾌락으로 나누었습니다. 그는 진정한 행복은 고통이 없는 즐거움이라고 믿습니다. 지나친 음주나 지나친 성적 쾌락은 일시적인 만족을 줄 수도 있지만, 건강을 해치는 고통을 동반하는 쾌락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행복을 가져올 수는 없습니다. 그는 영혼의 행복이 육체의 행복보다 더 고귀하고 미묘하다고 말했습니다. 몸은 현재에 얽매이고 속박되는 반면, 마음은 과거와 미래를 즐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그는 영적인 쾌락은 육체적 쾌락보다는 내면의 평화의 상태를 뜻한다고 강조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쾌락이라는 단어에 집중했습니다.

 

헬레니즘 시대의 스토아학파 아파테이아

스토아주의는 헬레니즘 시대부터 고대 후기까지 서양 철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철학 학파입니다. 스토아학파는 철학을 플라톤주의 철학자 크세노크라테스의 분류에 따라 논리학, 자연학, 윤리학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었습니다. Stoics는 이러한 개별 구분을 과수원 그림과 비교하여 그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논리는 정원을 보호하는 울타리와 같습니다. 즉, 그들은 논리에는 형식논리뿐 아니라 인식론, 의미론, 문법, 구문론도 포함된다고 믿었습니다. 로직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로고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로고는 말과 이상을 모두 의미합니다.

 

헬레니즘의 철학과 처세술의 철학
헬레니즘의 철학과 처세술의 철학

헬레니즘 시대의 회의주의학파 퓌론

퓌론은 원래 화가였습니다. 그의 스승인 아낙삭스는 데모크리토스의 교리를 따르는 사람이었으며, 퓌론도 알렉산더 대왕의 아시아 탐험에 그와 함께 참여했습니다. 그는 그곳에서 인도의 금욕적인 관습을 접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회의주의의 어원은 '둘러보기'에서 유래했습니다. 한 곳에 안주하지 못하고 주위를 둘러보거나 모든 것에 의문이 든다는 뜻입니다. 퓌론은 처음으로 회의론을 철학으로 받아들였으며 항상 어떤 것도 믿지 않았습니다. 퓌론은 여러 나라와 민족을 방문했기 때문에 사람들 사이의 의견 차이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일이 자연스럽게 진행되도록 놔두는 것뿐입니다. 대부분의 현상은 변할 수 있으므로 우리의 설명이 옳다고 가정해서는 안 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걱정하지 말고 자연스러운 흐름이 이어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이 학교의 이론에 대한 경멸은 점점 더 극심해졌습니다. 상충되는 독단적 가르침, 알렉산더를 뒤따른 정치적, 사회적 격변, 그리고 동양의 다른 관습과 삶에 대한 퓌론의 성찰은 그를 의심하게 만들었습니다.